어디까지나 이 방법은 임시방편이지만, 물리적 손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단순한 네트워크 오류에서는 아래 배치파일 실행으로 해결되리라 본다.
며칠 전에 인터넷 서비스를 orange에서 ono로 변경하였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서버를 통해 듣던 강좌 중 하나가 재생되지 않았고, 해당 관리자의 원격 서비스로 dns를 변경하자 문제는 잡혔다.
그런데 그 이후로 얼마간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이더넷은 인터넷에 물려있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도 되고 있는 상태임에도 크롬이나 익스플로어에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는 구문만 출력되고 더이상 아무 웹페이지에도 접속할 수 없는 상태에 봉착했다.
원인은 브라우저의 설정 문제거나, 백신에 잡히지 않는 바이러스 등이 있다던지, 기기 자체의 문제라던지, 뭐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걸 다 파악하기는 너무 귀찮아서 배치파일을 만들어 아예 네트워크 세팅을 리셋시키기로 했다.
이런 일이 계속 일어날 것을 대비해 매번 cmd를 실행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긴 번거로우니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한 배치파일을 만들었다.
배치파일은 윈도우즈 기본 제공 프로그램인 메모장에서 열어서 수정할 수 있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ipconfig/release
dhcp 구성과 어댑터의 ip 주소 구성을 각각 해제하고 제거.
ipconfig/renew
서버로부터 새로운 ip 주소와 구성값 수신.
단, dhcp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구성된 경우에만 사용 가능.
ipconfig /flushdns
기존 캐시를 삭제하고 다시 정보를 받으므로 빠른 갱신과 접속이 가능.
ipconfig /registerdns
구성된 dns 이름 및 ip 주소의 등록을 초기화.
netsh dump
구성된 스크립트를 표시.
nbtstat -R
NetBIOS 이름 캐시의 내용을 비우고 Lmhosts 파일에서 #PRE 태그가 붙은 항목을 다시 로드.
R를 소문자로 입력하면 wins가 사용되도록 구성되었거나 아닌 경우, 이름 확인 통계를 표시하거나 이름 수를 반환하는 매개 변수로 작동되니 꼭 대문자로 입력.
netsh int ip reset resetlog.txt
tcp/ip 스택을 재설정하는데 이 명령문에서는 결과가 기록될 로그 파일 이름을 지정해야 한다.
netsh winsock reset
winsock 키를 재작성.
실행 이후 간혹 프록시 클라이언트나 방화벽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게 마이너 프로그램의 경우로 한정되므로 해당 프로그램의 재설치나 삭제를 권장한다.
2014.04.05 15:16 작성된 포스트로부터 복원됨.
'넣기소년의 신변잡기 > 훈도교범 (지침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기 불편하지만 한적해서 즐거울 그날을 준비하세요 (2) | 2024.06.18 |
---|---|
월미도 역설 (4) | 2021.04.28 |
getting things done (7) | 2020.05.30 |
디볼에난데카 스택 중급자 10주 사이클 (0) | 2017.10.24 |
정치적 스펙트럼 (0) | 2016.07.02 |